본문 바로가기

ebs 고전시가 전문 및 해설/2021 수능특강

정석가 전문/해석 및 해설

 

 

 

정석가 전문/해석 및 해설

 

 

 

딩아 돌하 당금(當今)에 계상이다

딩아 돌하 당금에 계상이다

딩아~ 경(돌)이여 당금(에) 계십니다
딩아~ 경이여 당금에 계십니다

이 부분이 논문들마다 의견이 가장 많이 갈리고 해석도 다양한 부분인데요

일단 확실한 부분은 '돌하'라고 돌을 부르는 것만 확실합니다

'당금'은 '지금' 또는 '제왕 혹은 제왕의 자리'(이유는 설명하자면 길어져서 생략합니다)라는 뜻이 있습니다

논문들에서도 제대로 설명 못 하는 부분을 제가 더 이상 설명해봤자 의미는 없을 것 같습니다


션왕(先王)셩대(聖代)예 노니아와지이다                <제1연> 

훌륭한 임금이 다스리는 평화로운 시대에 행복하게 살고 싶습니다

'평화로운 시대에 살고 싶다'는 일단 써있는 내용 그대로 보시면 됩니다

 

 

 

*<제2~6연> 내용에 관해서도 구절에 대한 해설이 정말 다양하지만 여기서 일일이 설명할 수도 없고, 알아봤자 크게 도움도 안 되는 내용이라 그냥 써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시고 시험에 <보기>가 나오면 <보기> 내용을 참고해서 해석 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난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난

메마른 고운 모래 벼랑에
메마른 고운 모래 벼랑에


구은 밤 닷 되를 심고이다

구운 밤 닷 되를 심습니다


그 바미 우미 도다 삭나거시아

그 바미 우미 도다 삭나거시아

그 밤이 움이 돋아 싹이 나야만
그 밤이 움이 돋아 싹이 나야만

생밤도 싹이 나기 힘든 환경에서 구운 밤은 당연히 싹이 날리가 없죠


유덕(有德)하신 님믈 여희아와지이다                  <제2연>

유덕하신 님을 여의고 싶습니다

불가능한 상황을 가정했으니 님과 헤어지기 싫다고 보는게 맞겠네요

아래의 <제3~5연>도 불가능한 상황을 가정하고 있는 걸로 보시면 됩니다

 

 



옥(玉)으로 련ㅅ고즐 사교이다 
옥으로 련ㅅ고즐 사교이다 

옥으로 연꽃을 새깁니다
옥으로 연꽃을 새깁니다

 

바회 우희 졉듀(接柱)하요이다

바위 위에 뿌리를 박습니다


그 고지 삼동이 퓌거시아
그 고지 삼동이 퓌거시아

그 꽃이 세 묶음 피어야만
그 꽃이 세 묶음 피어야만


유덕하신 님 여희아와지이다                              <제3연>

유덕하신 님 여의고 싶습니다

 

 

 


므쇠로 텰릭을 말아 나난
므쇠로 텰릭을 말아 나난

무쇠로 옷을 마름질해
무쇠로 옷을 마름질해


텰사(鐵絲)로 주름 바고이다

철사로 바느질합니다


그 오시 다 헐어시아 
그 오시 다 헐어시아

그 옷이 다 헐어야만
그 옷이 다 헐어야만


유덕하신 님 여희아와지이다                              <제4연>

유덕하신 님 여의고 싶습니다

 

 

 

 

므쇠로 한 쇼를 디여다가
므쇠로 한 쇼를 디여다가

무쇠로 황소를 만들어서
무쇠로 황소를 만들어서


텰슈산애 노호이다

쇠나무산에 놓습니다

 

그 쇼가 텰초를 머거야 
그 쇼가 텰초를 머거야 

그 소가 쇠풀을 먹어야
그 소가 쇠풀을 먹어야


유덕하신 님 여희아와지이다                              <제5연>

유덕하신 님 여의고 싶습니다

 

 

 


구스리 바회예 디신들
구스리 바회예 디신들

구슬이 바위에 떨어져도
구슬이 바위에 떨어져도


긴힛단 그츠리잇가

끈이야 끊어지겠습니까


즈믄해를 외오곰 녀신들
즈믄해를 외오곰 녀신들

천 년을 외따로이 지내더라도
천 년을 외따로이 지내더라도


신(信)잇단 그츠리잇가                                    <제6연>

믿음이야 끊어지겠습니까

<제6연>이 "서경별곡"의 일부와 겹치는 부분인데, 그래서 이와 관련한 해석이 정말 다양합니다

하지만 "정석가"는 제목의 의미는 물론 창작 연대가 고려시대인지 조선시대인지도 명확하지 않은 작품이기 때문에 섣불리 하나의 해석만을 가져올 순 없었습니다

그냥 써 있는 내용 그대로 '믿음(끈)이 끊어질리 없다' 즉 믿음이 변하지 않는다고 읽어주시면 됩니다

 

 

 

 

 

 

본 글은

이대규 교수님의 논문 "고전문학 : 고려 가요 " 정석가 " 해석",

이경자 교수님의 논문 "정석가 신고 (鄭石歌 新考)",

임주탁 교수님의 논문 "<정석가>의 함의와 생성 문맥 (<鄭石歌>의 含意와 生成 文脈)" 및 직접적으로 본 글에 인용하진 않은 여러 논문들을 참고 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