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bs 고전시가 전문 및 해설/2021 수능특강

논매기 노래 해석/해설

 

 

논매기 노래 해석/해설

 

 

*제대로 된 자료가 많진 않은 작품이라 녹색은 안 쓰려다가 그래도 있는게 좋을 것 같아서 시험장에서 이 작품을 처음 봤을 때 기준으로 이 정도는 이해하고 지나가야된다 싶은 내용을 넣었습니다

 

 

잘하고 자로 하네 에히요 산이가 자로 하네 (->후렴)

후렴구인데요 '산이'는 여기서는 '선창하는 사람'으로 보고 있고, 시험장에서 처음 이 작품을 만나면 사실 그냥 그런가보다 하고 지나갈 수 밖에 없는 구절입니다 

추가로 설명하면 '자로 하다'는 '도움이 되다'라는 뜻을 가진 단어 '자하다'의 활용형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봐라 농부야 내 말 듣소 이봐라 일꾼들 내 말 듣소
잘하고 자로 하네 에히요 산이가 자로 하네

하늘님이 주신 보배 편편옥토(片片沃土)가 이 아닌가
잘하고 자로 하네 에히요 산이가 자로 하네

논이 비옥한가 보네요 이 감사함을 하늘의 공으로 돌리고 있습니다



물꼬 찰랑 돋아 놓고 쥔네 영감 어디 갔나
잘하고 자로 하네 에히요 산이가 자로 하네

잘한다 소리를 퍽 잘하면 질 가던 행인이 질 못 간다
잘하고 자로 하네 에히요 산이가 자로 하네

'물꼬~' 이 부분은 그냥 써 있는 그대로 이해하면 되고, '잘한다~' 이 부분에서 '질'은 '길' 같긴한데 이 구절이 정확히 무슨 말인지는 시험장에서 알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잘하고 자로 하네 우리야 일꾼들 자로 한다
잘하고 자로 하네 에히요 산이가 자로 하네

이 논배미를 얼른 매고 저 논배미로 건너가세
잘하고 자로 하네 에히요 산이가 자로 하네

담송담송마지기 반달만치만 남았구나
잘하고 자로 하네 에히요 산이가 자로 하네

'반달'은 여기선 '보름(15일)'로 보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일을 많이 해놔서 15일 정도 더 하면 논매기를 끝낼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닷'은 '다섯'이구요



일락서산(日落西山)에 해는 지고 월출동령(月出東嶺)에 달 돋는다
잘하고 자로 하네 에히요 산이가 자로 하네

시간의 경과 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잘하고 자로 하네 에히요 산이가 자로 한다
잘하고 자로 하네 에히요 산이가 자로 하네

잘하고 못하는 건 우리야 일꾼들 솜씨로다

 

 

 

 

논매기 : 흙을 뒤집어 나가며 잡초를 뽑는 일로 모를 논에 옮겨 심는 모내기를 한 후, 보름에서 20일 정도 후에 논매기를 시작함 적게는 2번, 많게는 3번까지 함

산이 : 사니. 본래는 광대나 재주꾼을 뜻하는데, 여기서는 선(先)소리꾼을 가리킴

편편옥토(片片沃土) : 어느 논밭이나 모두 다 비옥하다는 의미

담송담송 : 촘촘하지 않고 사이가 드문 모양

마지기 : 논밭 넓이의 단위

일락서산(日落西山) : 해가 서산으로 넘어감

월출동령(月出東嶺) : 달이 동쪽 고개로부터 솟아오름

 

 

 

 

 

 

이해와 감상 및 해설**

충북 영동 지방에서 채록한 "논매기노래"는 민중의 생활 감정을 소박하게 반영하는 민요의 일반적 성격이 잘 드러나 있으며 이를 통해 힘들고 고된 농사일을 즐거움으로 승화시켰던 선인들의 슬기를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아울러 이 노래에는 농사일을 천직으로 생각하는 민중들의 낙관적인 정서가 그들의 일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과 함께 잘 반영되어 있다. 

이 노래에는 ‘잘하고 자로 하네 여히요 산이가 자로 하네’하는 후렴구가 되풀이 되어 나오는데 이는 일할 때의 일의 리듬을 집단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노동으로 인한 피로를 감소시키고 흥을 북돋우어 일의 능률을 높여
주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일의 능률을 높이는 구실 외에도 공동체적 동질성을 공유함으로써 집단의 행동을 일치시켜 주며 나아가 공동체의 결속과 통합을 가져오는 사회적 기능도 담당하였다.

 

"논매기노래"의 후렴구 (잘하고 자로 하네 에히요 산이가 자로 하네)는 단순한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오히려 그것이 고된 노동으로 인한 육체의 고통을 잊게 하고 흥을 돋우는 가장 좋은 형태이기도 하다.

 

 

 

 

 

**이해와 감상 및 해설은 논문 "'논매기노래'의 문학 교육적 활용 연구 :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를 참고 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