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bs 극 수필 전문 줄거리 해설/2021 수능특강

채제공 유관악산기 전문/해설

 

 

 

유관악산기(채제공) 이해와 감상 및 해설

조선 후기에 채제공()이 지은 기행문. 순한문으로 기술되었고, 그의 문집인 ≪번암집 ≫에 수록되어 있다. 이 글은 그가 67세 되던 1786년(정조 10)에 관악산을 등반하고 쓴 것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하동()에 들어가 쉬고 길을 떠나 가다가 불성암()에 도착한다. 다음으로 연주대()라는 높다란 대에 오르고 거기에서 멀지 않은 곳에 차일암()이 있다.

 

옛날 양녕대군()이 세자의 위를 피하여 관악산에 와 있을 때 날마다 올라가 대궐을 바라보면서 임금을 그리워하던 곳을 연주대라 하였고, 해를 쬐는 것이 괴로워서 오래 머무를 수가 없으므로 조그만 차일을 치고 바위 귀퉁이에 앉아 있었으니, 이 바위를 차일암이라고 하였다 한다.

 

저자는 사방의 많은 봉우리들은 자잘해서 따질 것도 없고, 오직 저쪽 가에 싸인 기운이 아득하고 편편한 것은 하늘과 바다가 서로 이어진 것인 듯하나, 하늘로서 보면 바다요, 바다로서 보면 하늘이니, 하늘과 바다를 분별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양의 성과 대궐은 마치 밥상을 대한 것과 같은데, 한 덩어리 소나무와 잣나무가 둘러선 것으로 보아 경복궁의 옛 대궐임을 알겠고, 양녕대군이 여기에서 서성거리면서 쳐다보았다는 것은 비록 백대()가 지나간 뒤라도 그 마음을 상상할 수가 있을 것이라 하였다.

 

또한, 저자는 지난날 그가 숭배하던 허목()이 83세의 고령으로 이 관악산에 올랐을 때의 그 젊음을 과시하던 모습을 상상하고 부러워한 나머지 이 산에 오를 것을 결심하였던 것이다. 이 글은 관악산을 돌아보면서 느낀 감정을 진지하고도 그윽하게 표현하여 수필로서의 귀한 가치를 보여주고 있다.

 

 

 

 

 

채제공

조선후기 강화유수, 우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문장은 소()와 차()에 능했고, 시풍은 위로는 이민구()·허목(), 아래로는 정약용()으로 이어진다고 한다.

 

자신의 시대를 경장이 필요한 시기로 생각했으나, 제도 개혁보다는 운영의 개선을 강조, 중간수탈 제거, 부가세 폐단의 제거들을 추진하고 간리()의 작폐를 없앰으로써 국가재정 부족을 타개하는 것을 급선무로 생각하였다.

 

친우로는 정범조()·이헌경()·신광수()·정재원()·안정복() 등이 있고, 최헌중()·이승훈()·이가환()·정약용 등이 그의 정치적 계자가 된다.

 

저서로 『번암집』 59권이 전하는데, 권두에 정조의 친필어찰 및 교지를 수록하였다. 그는 『경종내수실록』과 『영조실록』·『국조보감』 편찬 작업에도 참여하였다.

 

 

 

 

 

 

 

 

 

*"채제공-유관악산기"는 조선 후기에 쓰여진 작품으로 원문이 한문입니다. 그 점을 염두해두시고 읽으시길 바랍니다!!*

 

**한글(hwp)과 pdf 파일 같은 내용이니 편하신 걸로 보시면 됩니다**

유관악산기 전문.hwp
0.03MB
유관악산기 전문.pdf
0.07MB